COIN은 샌프란시스코의 Coin, Inc. 에서 만든 신용카드형 결제 장치이다. 일종의 핀테크라고 할 수 있는데 국내에서는 여러가지 이유로 전혀 관심이 없는듯 하지만... 미국에 있는 관계로 예전에 올려 두었던 프리오더를 몇달전에 보내 주었는데 사용기에 대해서 까먹기 전에 써두고 싶다. 현재는 미국에서만 구입 가능. 사용 자체는 해외에서도 가능한 듯 싶은데 COIN을 설정하려면 계정이 있어야 하는데 그 계정은 미국에서만 만들 수 있다.



COIN은 쉽게 말하면 신용카드처럼 쓰면 된다. 크기도 신용카드랑 동일하고, 뒷면에 자기대 (Magnetic Stripe)와 사인할 곳이 있다는 점도 동일한데 실제 보내준 버전은 뒷면에 개인 이름도 써 있다. 초기 버전에는 없었는데 개인 표시 및 상점에서 혼란을 막기 위한 용도인듯.

이 카드가 독특한 점은 사용자가 자신의 카드를 여러개 COIN에 등록해 주고 신용카드처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쉽게 말하면 일종의 신용카드 복제 장치... 라고 보면 되는데, 카드를 등록하려면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 폰이 필요하고, COIN 박스에 동봉된 카드 리더 (이어폰 포트에 연결)를 통해서 직접 긁어 주거나, 카드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해 주면 된다. 이렇게 해서 최대 8개까지 카드를 등록할 수 있고, 평소에는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지만, 사용 직전에 전면의 원형 단추를 눌러서 (위에서 오른쪽 위의 원이 그려진 부분이 실제 눌려진다) 깨우고 다시 같은 단추를 눌러 사용할 카드를 선택하고 나면 (카드 번호의 뒤쪽 4자리가 보인다) 그 상태로 일반 신용카드를 사용할 것 처럼 긁어주면 된다. 분실을 대비해서 폰이랑 블루투스 페어가 끊기면 자동으로 기능 정지가 된다. 이외 신용카드가 아닌 카드 (포인트 카드 등)도 등록 가능하나 실제 사용 가능한지는 안해봐서 모르겠다.

이렇게 하면 실제 여러장의 카드를 갖고 다닐 필요 없이 COIN 한장이면 된다는 건데, 실제 사용해 본 바로는 몇가지 문제점이 노출이 되는데...

  • 일단 결제가 잘 되는 곳에서는 꽤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슈퍼마켓이나 주유소 등에서 사용해 보았는데 기존처럼 긁으면 되는 지라 평소랑 다를 것이 없다. 이점이 COIN의 최대 장점이자 단점인데 그 부분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 ATM에서도 사용 가능하다고 하나 실제 시도해 보지는 않았다.
  • 이론적으로는 자기대 방식을 지원하는 카드 리더에서는 모두 문제 없이 돌아가야 하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호환되지 않은 상점이나 POS기기 리스트는 COIN FAQ에서 찾아볼 수 있다.
  • 폰이랑 페어링이 끊어지고 타임아웃 되면 사용 불능. 보안 기능이지만... 다만 인터넷 연결은 카드 등록 이외에는 필요하지 않으므로 실 사용에서 인터넷 연결이 필요하지는 않다.
  • 최대의 문제점이라면 아무래도 안되는데가 있을까봐 껄끄러우니 결국 신용카드를 한두장 같이 갖고 다니게 된다는 점.
보안에 대해서는 나름 신경을 쓴 부분이 보이는데 다음과 같다.
  • COIN은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결 되고, 폰에 전용 앱을 설치해서 COIN 장치와 동기화한다. 즉 앱에서 사용할 카드를 관리하고, COIN과는 동기화만 한다는 점이 다름.
  • 선택후 긁으면 자동으로 락이 걸리고, 앱에서 위치 추적이 가능
  • 폰이 리셋되면 처음부터 다시 등록해야... 기존에 있던 COIN도 사용 불가능이 되므로 리셋 후 다시 동기화해야 함. 잃어버리는 경우를 감안하면 이렇게 하는 게 맞을수도. 다른 말로 하면 COIN 등록시의 계정에는 카드 정보를 애초에 업로드하지 않는다는 이야기.
국내에서는 아마 이런 종류의 기기에 관심이 없어 보이는건 아마도 카드복제장치... 에 대한 거부감 내지는 합법성에 대한 의문일 텐데, 국내에서 이런거 팔아도 되는지 사실 모르겠다. COIN은 기존 카드사와 협력 관계가 아니다. 즉 허락 받고 하는게 아님. 그리고 마그네틱에서 칩 기반으로 옮겨가는 신용카드 시장도 관계가 있다. 이미 한국도 그렇고 유럽에서 카드 결제를 하면 보통 칩 기반 카드 + 사인 내지는 PIN으로 결제하는 경우가 이제 일반적인 경우인데 미국도 예외는 아니고 2015년 10월부터 카드결제하는 측(보통 상점)에서 EMV 기반의 카드가 아니면 사기 거래에 대한 면책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얼마 안 남았다). 따라서 기존의 카드 및 POS 시스템이 칩 기반으로 빠르게 옮겨가게 되는데 자기대 기반의 COIN은 칩 + PIN/사인에 대해서 지원할 수 없다는 것이 최대 약점이 된다.

지금 발매중인 COIN 1.0 은 자기대 지원 방식이라 발표될 때 부터 이점에 대한 의문이 많이 있었는데, 요즘에는 EMV 기반의 NFC 기능을 추가한 COIN 2.0 을 내놓기로 하고 기존 1.0 사용자에 대해서는 무료 업그레이드라는 특단의 조치를 취했다(아싸). NFC지원이라면 기존의 NFC방식의 스마트폰 결제 시스템과 유사하다고 생각이 되는데, 이게 애플 페이도 아니고 삼성 페이도 아닌지라 어떤 방식이 될지는 아마 2.0을 받아 봐야 알게 될 듯. 어쨌든 칩 + PIN기반의 방식은 물 건너갔다고 봐야 하는게 칩 방식 자체가 암호화 칩이라 자기대와 달리 복제가 불가능한지라 이게 된다고 하면 기존 카드 시스템 자체가 무너졌다고 봐야 하는지라...

사실 이러한 문제보다는 이 업체 자체의 문제도 있는데, 2013년에 프리오더를 넣어 놓고 까먹을 정도로 실제 제품 발송이 2015년까지 늦어진 문제가 있고 (중간에 얼리아답터 발송도 탈락...) 그 와중에 애플페이나 삼성페이 등이 런칭, EMV 칩 문제도 2015년으로 다가온 지라 2년 전에 실제 물건이 발송이 되었다면 좀 더 좋았을 텐데, 신뢰성의 문제도 포함해서 약간 실기했다는 느낌이 크게 든다.

애플페이나 삼성페이 이야기가 나와서,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삼성페이는 실제 써보지는 않았으니 들어서 아는 한도에서만 이야기하면,
  • COIN은 아이폰 및 안드로이드 모두 지원. 카드 관리용 앱 설치 필요. 블루투스로 동기화. 폰에서 결제 하는게 아니라 COIN으로 결제.
  • 애플페이는 아이폰 최근 모델만 지원. 관리용 기능은 iOS 8 에 내장. 폰의 NFC로 결제하므로 다른 장치 필요 없음. 애플워치가 있다면 연동시킨 후에 워치로 결제 가능
  • 삼성페이는 삼성 안드로이드폰 최근 모델만 지원. 폰에 내장된 자기대 에뮬레이션 내지 NFC로 결제. 기어와는 아직 연동 안됨.
애플페이는 애초에 NFC방식이라 COIN과는 큰 관계가 없는데, 삼성페이는 기존의 자기대 카드 대신 자기대를 에뮬레이션해주는 자기장을 발생시킨다고 하고, COIN은 아예 자기대 자체가 달려 있다는 점이 큰 차이일 수 있다. 즉 미국 주유소나 ATM처럼 자기대 에뮬레이션으로 안되고 직접 카드를 넣어 주어야 하는 경우에는 COIN 방식이 유리할 수도 있겠다. 그리고 큰 차이라면 역시 카드사와 제휴를 했느냐 안했느냐인데, 애플페이나 삼성페이의 경우 카드사와 제휴해서 원타임 트랜젝션을 만드는 방식으로 보안성을 높인 것으로 아는데, COIN은 그냥 카드 복제에 불과하므로 기존 카드와 동일한 방식이라는 것.

COIN도 아이디어 자체는 좋아 보였지만 현실적인 구현 방식에서 여러가지 장벽을 만난 것으로 보이는데, 더 발전해서 NFC와 같이 새로운 방식도 모두 수용이 가능하고 폰 벤더에 관계 없는 범용 수단이 된다면 장래가 어느 정도는 있지 않을까. 또한 국내에서도 이런 것을 만들어서 판매 자체가 가능한지 핀테크적인 측면에서 법적인 문제는 없을지 생각해 보는 것도 좋겠다.

p.s. 유사한 제품으로 Qvivr 사의 Swyp 라는 제품이 있다. 현재는 프리오더 중인듯.